양악 수술 중 신경 손상이 발생했을 때 회복 가능성과 예후, 꼭 필요한 치료법까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하치조신경 손상, 무시하면 위험합니다
턱 수술 후 감각이 돌아오지 않거나 전기가 흐르는 듯한 느낌.
무시하고 넘기면 평생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 후 11일, 입술은 찌릿하고 턱은 간질간질.
작열감도 있고 자려고 누우면 더 심해집니다.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 괜찮을까요?
회복의 골든타임은 따로 있다
신경 손상 회복은 빠를수록 좋습니다.
특히 첫 4주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뭘 하느냐보다 무얼 하지 않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쓸데없는 물리치료보다는 정확한 감각 모니터링과 약물 치료가 핵심입니다.
처방약 외에 정말 필요한 건 뭘까?
단순 스테로이드 복용만으로 충분할까?
그럴 수도 있지만 대부분 아래 3가지를 꼭 챙깁니다.
- 고함량 비타민 B 복합제
신경 재생을 도와주는 가장 기본적인 보조요법입니다. - 적절한 휴식과 수면
회복기에 무리한 활동은 회복 속도를 늦춥니다. - 감각 변화 기록하기
매일 어떤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록하면
진료 시 정확한 피드백이 가능합니다.
점점 심해진다면? 병원을 다시 찾아야 할 때
회복 중 저릿함이나 찌릿함은 흔한 증상입니다.
하지만 아래에 해당하면 병원을 꼭 다시 찾아야 합니다.
- 며칠 전보다 감각이 더 심하게 이상함
- 입 주변 화끈거림이 밤마다 심해짐
- 만졌을 때 턱 전체가 무감각하거나 반응 없음
이런 경우는 신경 회복이 잘 되지 않거나
신경문합 부위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경 회복, 얼마나 걸릴까?
대부분의 경우 신경은 수개월에 걸쳐 천천히 회복됩니다.
보통 3개월, 길게는 12개월까지도 걸릴 수 있습니다.
지금 시점은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감각 이상이 있다고 해도 당장 걱정할 상황은 아닙니다.
회복 도중 이런 증상은 자연스러운가요?
✔ 찌릿한 느낌
✔ 간질간질한 감각
✔ 눌렀을 때 이상한 감촉
✔ 작열감
모두 회복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증상입니다.
단, 점점 심해진다면 반드시 검진이 필요합니다.
하치조신경 손상 회복을 위한 실천 팁
- 비타민B 고함량 제품 꾸준히 복용하기
일시적으로 끝내지 말고 최소 2~3개월은 유지하세요. - 손상 부위에 자극 주지 않기
무리하게 마사지하거나 문지르지 마세요. - 수면 패턴 조절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해질 경우 숙면을 취해야 회복 속도가 빨라집니다. - 신경과/구강외과 협진 필요 시 요청하기
통증이 심하면 약물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치조신경 손상 회복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하치조신경이 손상되면 무조건 감각이 안 돌아오나요?
→ 경미한 손상은 대부분 회복됩니다.
전기 흐르는 듯한 감각은 괜찮은 건가요?
→ 신경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흔한 증상입니다.
비타민B는 어느 정도 기간 복용해야 하나요?
→ 최소 2~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통증이 점점 심해지는데 괜찮은 걸까요?
→ 악화되는 경우는 반드시 병원 재방문이 필요합니다.
신경 회복에는 물리치료가 도움되나요?
→ 대부분은 필요하지 않으며, 약물과 휴식이 우선입니다.
핵심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양악 수술 후 신경 손상은 회복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초기 대응이 중요하고, 점진적 호전이 핵심입니다.
심해질 경우엔 망설이지 말고 병원에 다시 가야 합니다.
2025.05.02 - [*건강 지식*/피부과·외과] - 염증주사 후 가능한 화장품과 피해야 할 제품
염증주사 후 가능한 화장품과 피해야 할 제품
염증주사 맞은 부위에 선크림과 화장품을 바르면 생기는 문제와 바르면 안 되는 이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까지 모두 정리한 현실적인 가이드입니다. 피부염 악화를 피하고 싶다면 반드시
dd.it4989.co.kr
2025.05.04 - [*건강 지식*/피부과·외과] - 열감 없는 피부트러블, 피부염일까 여드름일까
열감 없는 피부트러블, 피부염일까 여드름일까
피부에 오돌토돌하고 가려운 증상이 생겼는데 열감은 없을 때, 주사피부염인지 접촉성피부염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면 이 글에서 피부염 종류와 대처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오돌토돌 가려운
dd.it4989.co.kr
'*건강 지식* >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생 자녀 틱장애, 심리치료로 나아질 수 있을까 (0) | 2025.05.09 |
---|---|
수면부족 해결을 위한 멜라토닌 글루타치온 활용법 (0) | 2025.05.08 |
신체 접촉이 불쾌한 이유와 감각 민감성 대처법 (0) | 2025.05.03 |
자다 거실에 나와 있었다면 몽유병일 가능성 큽니다 (0) | 2025.04.30 |
수면시간은 충분한데 여드름이 는다면 꼭 확인해야 할 수면패턴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