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식*/피부과·외과

염증주사 후 가능한 화장품과 피해야 할 제품

by 건강한 곰돌이 정 2025. 5. 2.
반응형

염증주사 맞은 부위에 선크림과 화장품을 바르면 생기는 문제와 바르면 안 되는 이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까지 모두 정리한 현실적인 가이드입니다. 피부염 악화를 피하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염증주사 맞았으면 조심해야 합니다

피부에 직접 맞는 주사입니다.
작은 바늘로 여드름 부위에 약을 주입하니, 사실상 미세한 상처입니다.

 

이 상태에서 선크림이나 화장품을 바르면 어떻게 될까요?
피부는 이미 예민해져 있고, 주사 부위는 열린 상처처럼 민감합니다.

 

염증을 줄이기 위한 주사인데
자극을 주면 오히려 역효과가 납니다.


염증주사 맞고 선크림 질문
염증주사 맞고 선크림 질문

선크림 발라도 될까? 꼭 알아야 할 핵심

선크림은 기본적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입니다.
하지만 염증주사 부위에는 '절대' 바르면 안 됩니다.

 

왜 안 될까?

  • 자극적인 화학 성분
  • 바를 때 손으로 누르거나 문지르게 되는 압력
  • 주사 부위가 흡수에 예민해진 상태

이런 요소들이 염증을 다시 자극하거나
색소침착, 붉은기 악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럼 무엇을 바르면 안 되는 걸까?

피해야 할 제품 리스트

  1. 선크림
  2. 파운데이션, 쿠션
  3. 톤업크림
  4. 자극 있는 세럼이나 앰플
  5. 재생크림도 의사 지시 없으면 X

주의할 점
자극이 되는 제품은 전부 해당 부위를 피해 주세요.
특히 바를 때 힘을 주거나 문지르는 행위는 가장 위험합니다.


염증주사는 사실상 미세한 상처 입니다
염증주사는 사실상 미세한 상처 입니다

언제부터 바를 수 있을까?

염증주사 부위가 가라앉고
붉은기나 통증이 사라졌다면 그때부터 가능합니다.

 

보통 24~48시간이면 충분합니다.
다만, 딱지가 생겼다면 그 부위는 조금 더 지켜보세요.


실수로 선크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붉게 부풀거나
  • 더 진하게 착색될 수 있습니다.
  • 염증이 심해져 2차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날 선크림을 발랐다면
바로 닦아내고, 냉찜질이나 진정 제품으로 관리하세요.


선크림과 화장품 절대 바르면 안 되는 이유
선크림과 화장품 절대 바르면 안 되는 이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요약

염증주사 후 1~2일 간 실천해야 할 행동들

  1. 선크림, 화장품 모두 해당 부위는 피해서 사용
  2. 세안도 부드럽게, 절대 문지르지 않기
  3. 손으로 만지지 않기
  4. 외출 시 모자나 마스크로 자외선 차단
  5. 붉은기 심하면 병원 재방문

염증주사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반응형

염증주사 후 언제부터 메이크업 가능해요?
보통 2일 후부터 가능합니다.

 

염증주사 부위에 연고 발라도 되나요?
병원에서 처방받은 것 외에는 사용 금지입니다.

 

딱지가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두는 게 좋습니다.

 

염증주사 후 마스크 써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피부에 닿지 않게 살짝 띄워주세요.

 

여러 부위에 맞았는데, 전부 바르면 안 되나요?
맞은 부위는 전부 피해서 발라야 합니다.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염증주사 후에는 ‘무자극’이 정답입니다

자극만 피하면 회복 속도도 빠르고,
흉터나 색소침착 걱정도 줄어듭니다.
1~2일만 신경 써도 결과는 달라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