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지식*/주식·코인9 삼성증권 ISA 한도제한 해제 시 거래 목적 선택 기준 ISA 한도제한계좌 해제 시 ETF나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를 하려면 반드시 ‘금융상품 거래’ 목적을 선택해야 하며, 단순 입출금 선택 시 제한됩니다.한도제한 풀 때 ETF 거래까지 하고 싶다면?ISA 계좌를 만들면 처음엔 '한도제한계좌'로 시작합니다.입출금은 가능하지만 ETF 같은 금융상품 거래는 불가합니다.이 제한을 풀기 위해선 거래 목적을 명확히 선택해야 합니다.금융상품 거래를 하려면 ‘입출금 및 기타거래’가 아닌‘금융상품 거래’ 목적을 선택해야 합니다.처음 선택을 잘못하면 투자 자체가 막힙니다.입출금 및 기타거래 vs 금융상품 거래 차이점둘 다 해제 목적이지만 기능에선 큰 차이가 있습니다.헷갈리는 사람 많습니다. 아래에서 확실히 구분해보세요.구분입출금 및 기타거래금융상품 거래 가능한 활동송금, 카.. 2025. 6. 2. ISA 일반계좌 전환 후 절세 전략 정리 ISA 만기 후 주식 손실 상태일 때 세제 혜택이 가능한지, 연금저축계좌 이전 방법과 신규 ISA 가입 조건까지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ISA 만기 후 수익 없을 때, 세금 혜택 받을 수 있을까?ISA 계좌는 수익이 있어야만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만기 전에 현금화를 하더라도 수익이 없다면 비과세 혜택은 없습니다. 단, 손실이 난 상태라도 손익 통산은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예·적금이나 ETF에서 이익이 있었고, 주식에서 손실이 났다면 합산해 세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하지만 주식만 있고 손실뿐이라면 실질적인 세제 혜택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면 세제 혜택 받을 수 있을까?ISA 만기 후 60일 이내에 연금저축계좌로 자산을 이전하면 추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단, 몇 .. 2025. 5. 17. ETF 양도소득세 전환, 배당소득세와 어떤 점이 다를까? 국내 상장된 미국 ETF를 팔 때 내는 세금이 15.4%에서 22%로 바뀌는 이유와 실제 적용 시기, 세금 방식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와 분리과세의 차이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미국 ETF 팔면 세금이 22%? 헷갈리는 이유부터 짚어봅니다올해 들어 자주 들리는 얘기입니다.“국내 상장 미국 ETF도 이제 양도소득세 내야 한다.”그 말, 정확히 따지면 아직 시행되지 않았습니다.하지만 방향은 분명합니다.정부는 현재 ‘배당소득세’로 분류되던 국내 ETF 수익에 대해‘양도소득세’ 방식으로 과세체계를 바꾸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세금 체계가 바뀐다면, 언제부터 적용될까?지금까지는 수익금의 15.4% 배당소득세를 떼는 방식이었습니다.즉, 국내 상장 ETF라도 외국 자산에 투자하더라도 말이죠.. 2025. 5. 1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