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금융·경제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전 혼동 없이 입력하는 법

by 건강한 곰돌이 정 2025. 7. 2.
반응형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전 몰라 겪은 난감한 상황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전 몰라 겪은 난감한 상황

퇴직금 계산기 입력 시 세전과 세후의 기준을 몰라 예상보다 적은 금액을 받는 경우가 많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한 입력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전 입력 실수로 겪은 당황스러운 경험

회사 그만두기 전날, 책상 정리보다 먼저 한 게 퇴직금 계산이었습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사이트에서 퇴직금 계산기를 열어
3개월 급여랑 상여금을 입력하라는 화면을 보고 한참 멈췄습니다.

‘이거 세전으로 넣어야 하나? 세후로 넣는 거 아닌가?’

막연한 기억으로 실수령액을 입력하고 계산했더니,
받기로 예상했던 금액보다 적게 나왔습니다.

왠지 손해보는 느낌에 다시 급여명세서를 뒤졌고
그제서야 ‘지급총액’과 ‘실수령액’이 다르다는 걸 제대로 인식하게 됐습니다.


내가 직접 겪은 입력 오류 사례

반응형

당시 월급은 250만 원 정도였는데
실수령은 220만 원쯤이었습니다.

퇴직금 계산기에는 월급 220만 원으로 입력했고,
상여금도 실수령 기준으로 대충 합산했죠.

결과는 200만 원 이상 차이나는 퇴직금.

회사에 문의하니 돌아온 답변은 이랬습니다.
“계산기는 세전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합니다. 지급총액 기준으로 다시 입력해보세요.”

그제야 명세서에서 ‘세전 지급총액’을 확인하고
다시 계산했더니 제대로 된 금액이 나왔습니다.


내가 직접 겪은 당황스러운 경험
내가 직접 겪은 당황스러운 경험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의 입력 기준

직접 확인한 공식 계산기에는 이렇게 명시돼 있었습니다.

  • 3개월간 급여 총액: 세전 기준
  • 기타수당 포함 시: 세전 수당 포함
  • 연간 상여금: 퇴직일 기준 1년간 지급 총액
  • 연차수당: 포함 시 퇴직 전 1년 기준 반영 가능

입력창은 단순하지만,
숫자 하나하나가 ‘세전’ 기준이라는 걸 모르고 입력하면
결과 자체가 왜곡됩니다.

 

퇴직금계산은 세전임금으로하나요 세후임금으로하나요
퇴직금계산은 세전임금으로하나요 세후임금으로하나요


세후로 입력하면 생기는 문제

퇴직금 계산은 '평균임금 × 30일 × 재직연수/365'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평균임금 자체가 세전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구조죠.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계산하게 되면
퇴직금은 적게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 실제 지급총액 2,500,000원
  • 실수령액 2,250,000원

이런 상태에서 3개월간 급여를 세후로 넣으면
총입력액이 75만 원 이상 차이 납니다.

결국 퇴직금도 수십만 원 줄어들게 됩니다.


세후로 입력하면 손해봅니다
세후로 입력하면 손해봅니다

정확하게 입력하는 방법

퇴직금 계산기는 정확히 입력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1. 급여명세서에서 '지급총액'만 입력
  2. 3개월간 기본급 + 포함 수당 합산
  3. 상여금은 최근 1년치 세전 총액
  4. 연차수당 지급된 경우 세전 기준 합산
  5. 공제금액은 참고하지 말 것

연말정산처럼 복잡하지 않지만
실제 명세서로 확인하지 않으면
쉽게 틀릴 수 있는 구조입니다.

 

2025.04.24 - [*경제 지식*] - 퇴직금 미지급, 며칠 기다리란 말 믿지 마세요

 

퇴직금 미지급, 며칠 기다리란 말 믿지 마세요

퇴직금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지연될 경우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는 명확한 권리입니다. 이번 글은 퇴직금 지급 지연 시 법적 대응 방법과 실제 신고 절

dd.it4989.co.kr


퇴직 후 실제 수령 금액은 왜 다를까?

반응형

계산기에서 나오는 금액은 세전 기준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받게 되는 금액은 세금이 빠진 세후 금액입니다.

퇴직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이 공제되기 때문에
실제 수령은 5~15%까지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세후 수령액을 알고 싶다면
국세청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실제 수령액은 왜 더 적을까요?
실제 수령액은 왜 더 적을까요?

퇴직금 계산기 세후 세전 관련 자주 묻는 질문들

퇴직금 계산기 입력은 세전 기준인가요?
→ 네. 월급, 수당, 상여금 모두 세전 금액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세전 금액은 어디에서 확인하나요?
→ 급여명세서의 '지급총액' 항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연차수당은 무조건 포함되나요?
→ 회사 지급 기준에 따라 다르며, 지급되었다면 포함 가능합니다.

상여금은 월별로 입력하나요?
→ 아닙니다. 퇴직일 기준 최근 1년 총액을 합산해서 입력합니다.

실제 수령액은 왜 계산보다 적나요?
→ 퇴직소득세와 지방세가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핵심 요약 한 줄 정리

퇴직금 계산기 입력은 세전 기준으로만 해야 하며, 실수령액 기준으로 입력하면 계산 결과가 다르게 나옵니다.


2025.02.01 - [*경제 지식*] - 퇴직금으로 돈 불리는 법! 이자 높은 적금 통장 BEST 5 (은행별 비교)

 

퇴직금으로 돈 불리는 법! 이자 높은 적금 통장 BEST 5 (은행별 비교)

퇴직금으로 적금 통장? 왜 이렇게 신경 써야 할까?얼마 전, 오랜 직장 생활을 마치고 퇴직금을 수령한 친구가 고민을 털어놨다. "이 돈, 그냥 두면 괜히 써버릴 것 같아. 어디에 넣어두는 게 좋을

dd.it4989.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