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국민연금 추납과 연기 둘 다 가능한가요? 타이밍이 전부입니다

by 건강한 곰돌이 정 2025. 4. 22.
반응형

국민연금 수령을 연기하면서도 계속 납입할 수 있는지, 추납은 언제까지 가능한지에 대해 헷갈리는 분들을 위한 현실적인 해답을 정리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 연기, 납입은 계속할 수 있을까?

60세가 지나 국민연금 수령 시기가 왔습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수령하지 않고 연기를 고민 중이신가요?

 

그렇다면 중요한 선택지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임의계속가입’을 통해 납입을 계속하는 방법입니다.

 

수령 연기하면서 국민연금 납입도 병행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추납 관련 질문 지식인
국민연금 추납 관련 질문 지식인

수령 연기와 임의계속가입, 동시에 가능한 이유

  1.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60세까지 의무 가입입니다.
  2. 이후에도 직장을 다니지 않더라도, 본인이 원하면 ‘임의계속가입’ 신청으로 65세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3. 연금 수령은 60세부터 가능하지만, 최대 5년까지 연기할 수 있습니다.

즉,
수령을 연기하면서 동시에 납입도 65세까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이건 단순히 가능한 정도가 아닙니다.
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매우 유리한 전략입니다.


국민연금 추납, 60세 이후엔 불가능합니다

한동안 납입하지 못했던 국민연금,
이제 상황이 나아져서 추납을 하고 싶은 분도 많습니다.

하지만 추납은 타이밍이 전부입니다.

수령 연기와 납입 동시에 가능 합니다
수령 연기와 납입 동시에 가능 합니다

추납을 하려면 꼭 알아야 할 3가지

  1. 추납은 ‘60세 이전’에만 신청 가능합니다.
  2. 신청만 해놓고 납부하지 않으면 무효 처리됩니다.
  3. 연기 중이어도 추납은 신청·납부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국민연금 수령을 연기 중이더라도 60세 전까지만 추납이 가능합니다.

 

“연기했으니까 나중에 해도 되겠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60세 지나면 아무리 사정이 좋아져도 추납은 막힙니다.


헷갈리는 국민연금 제도, 이렇게 정리하세요

반응형

국민연금은 선택보다 ‘시기’가 더 중요합니다.
특히 연기와 추납을 함께 고려하는 경우, 실수가 많습니다.

이렇게 정리하면 실수 없습니다

  • 60세 이후에도 납입 원하면 → 임의계속가입 신청
  • 국민연금 수령 늦추고 싶으면 →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
  • 못 낸 기간 채우고 싶으면 → 60세 전 추납 신청 필수

이 3가지만 기억하면 복잡한 국민연금 전략도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추납은 60세 전에만 가능 합니다
추납은 60세 전에만 가능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 연기와 납입에 대해 많이 하는 질문들

국민연금 수령을 연기하면 납입도 중단되나요?
아니요. 임의계속가입으로 계속 납입할 수 있습니다.

 

연기하면 더 많이 받을 수 있나요?
네. 1년 연기 시 약 7.2%씩 최대 36% 증가합니다.

 

추납 신청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60세 도달 전까지만 신청과 납부가 가능합니다.

 

연기 중에도 추납 가능하나요?
네. 수령을 연기한 상태에서도 추납 가능합니다.

 

임의계속가입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국민연금공단 방문 또는 홈페이지·모바일 앱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과 납입 전략, 핵심은 타이밍

연기와 납입, 추납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단, 각각의 ‘시기’만 제대로 지키면 됩니다.
국민연금은 준비하는 만큼 유리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