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자동차 명의 이전 시 증여세, 취등록세, 가족 및 연인 간 증여 절차

by 돈 많은 곰돌이 정 2025. 2. 18.
반응형

자동차 명의 이전 시 증여세 및 취등록세 계산법

1. 자동차 명의 이전이란?

자동차 명의 이전은 차량 소유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절차입니다. 가족 간 증여나 차량 거래 시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명의 이전 비용, 증여세, 취등록세)**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버지의 차량을 증여받을 때남자친구에게 증여할 때 발생하는 세금과 절차를 상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2. 아버지에게서 자동차 증여받을 때 발생하는 세금

아버지로부터 자동차를 증여받을 경우, 명의 이전 비용, 증여세, 취등록세가 발생합니다.

1) 명의 이전 비용

  • 자동차 명의 이전 시 발생하는 기본 비용
  • 차량 연식과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만~20만 원 수준

2) 증여세 계산

  • 가족 간 증여 시 5,000만 원까지 비과세(직계존속 기준)
  • 차량 가치가 960만 원이라면, 증여세 발생 X (면제)

3) 취등록세 계산

  • 차량 가액 × 4%~7%
  • 차량 가액이 960만 원이라면, 약 38만~67만 원 수준

세금 항목 계산식 예상 금액

명의 이전 비용 고정 비용 10~20만 원
증여세 960만 원 (비과세 한도 내) 0원
취등록세 960만 원 × 4%~7% 38~67만 원
총 비용   약 48~87만 원


3. 남자친구에게 자동차 증여 시 세금 계산

남자친구에게 자동차를 증여할 경우, 가족 간 증여와 다르게 증여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명의 이전 비용

  • 일반적인 명의 이전 비용과 동일 (10~20만 원 수준)

2) 증여세 계산

  • 배우자가 아닌 제3자에게 증여할 경우 증여세 부과 대상
  • 세율 10% 적용
  • 차량 가액 960만 원 × 10% = 96만 원

3) 취등록세 계산

  • 증여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
  • 차량 가액 × 4%~7%
  • 약 38만~67만 원

세금 항목 계산식 예상 금액

명의 이전 비용 고정 비용 10~20만 원
증여세 960만 원 × 10% 96만 원
취등록세 960만 원 × 4%~7% 38~67만 원
총 비용   약 144~183만 원

 

4. 자동차 명의 이전 절차

1) 필요한 서류

  • 자동차 등록증
  • 신분증(증여자 & 수증자)
  • 자동차 매도용 인감증명서 (증여자가 준비)
  • 자동차 보험 가입 증명서
  • 증여 계약서(가족 간 증여 시 필요)

2) 진행 절차

  1. 구청 또는 자동차 등록사업소 방문
  2. 명의 이전 신청서 제출 (서류 준비 필수)
  3. 세금 납부 및 등록 완료
  4. 새로운 소유자 명의 변경 완료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아버지 차를 증여받으면 증여세가 면제되나요?

A. 네, 직계존속(부모)에게 증여받는 경우 5,000만 원까지 증여세 면제됩니다.

Q2. 남자친구에게 증여 시 증여세를 피할 방법이 있나요?

A. 부부가 아니라면 증여세가 발생합니다. 이를 피하려면 중고차 거래 방식으로 매매 계약서 작성 후 이전 등록을 해야 합니다.

Q3. 명의 이전을 위해 반드시 보험을 변경해야 하나요?

A. 네, 명의 이전 전에 반드시 새로운 소유자의 이름으로 자동차 보험 가입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Q4. 취등록세는 어디에서 납부하나요?

A. 자동차 등록사업소에서 명의 이전 신청 시, 취등록세를 함께 납부해야 합니다.

Q5. 가족 간 명의 이전도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가족 간 증여도 공식적으로 명의 이전을 해야 하며, 이를 신고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줄 요약

  • 아버지에게 차를 증여받으면 증여세 면제(5,000만 원 한도), 취등록세(4~7%)만 납부
  • 남자친구에게 차를 증여하면 증여세(10%) 발생, 추가로 취등록세 부담
  • 명의 이전 절차는 자동차 등록사업소에서 진행하며, 보험 가입 후 이전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