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 신고는 거래 시점과 대상에 따라 납세의무자와 방법이 달라 복잡한데, 이 글에서는 실무자가 직접 겪은 경험을 토대로 절차와 주의사항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거래 한 번에 세무서 3번, 시청 1번…이게 현실입니다
솔직히 말하면, 저는 주식 업무 해본 적 없었습니다.
경영지원팀 팀장이라는 이유만으로 갑자기 비상장주식 업무를 맡게 됐죠.
신규 유상증자 중간에 구주 거래 5건이 동시에 터졌고,
그 중 2건은 외국법인과 외국인.
그때부터 제 악몽이 시작됐습니다.
양도자는 외국인, 신고는 양수자가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
결국 제가 대신 세무서와 시청을 직접 뛰어다니며 대행했습니다.
한마디로 ‘이해한 사람이 고생하는 구조’였어요.
그래서 지금부터 제가 겪은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 신고 전 과정을 정리합니다.
실수 없이 끝내고 싶다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증권거래세 신고는 누가, 언제, 어떻게 해야 하나요?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 신고를 제대로 하려면 3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1. 누가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나요?
- 국내 개인·법인이 양도자일 경우 → 양도자가 납부
- 외국인 또는 외국법인이 양도자일 경우
(금융투자업자 없이 거래한 경우) → 양수자가 납부
하지만 외국인이 직접 납부 못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때는 저처럼 주권발행회사에서 사실상 대행하게 됩니다.
법적으로는 의무가 아니지만, 거래 마무리를 위해 어쩔 수 없었습니다.
2.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나요?
반기 기준입니다.
- 1월~6월 거래 → 8월 31일까지
- 7월~12월 거래 → 다음해 2월 말까지
이 기한을 놓치면?
신고불이행 가산세가 따릅니다.
과소신고가 아니더라도, 그냥 늦기만 해도 가산세 붙습니다.
3. 어떻게 계산하나요?
- 세율: 0.35% (만분의 35)
- 과세표준: 주식 양도금액 전체
📌 예시
비상장주식 1억 원에 양도 →
1억 × 0.0035 = 35만 원 납부
양도소득세도 놓치면 안 되는 이유
증권거래세는 거래 자체에 대한 세금이고,
양도소득세는 ‘이익’에 대한 세금입니다.
양도자가 국내 거주자일 경우, 양도소득세도 반드시 함께 신고해야 합니다.
보통은 다음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와 함께 처리합니다.
양도소득세율 정리
- 중소기업 주식: 10%
- 비중소기업: 20%
- 대주주 + 1년 미만 보유: 최대 30%
- 3억 초과분: 누진세율 적용
여기에 기본공제 250만 원까지 적용하면 최종 세액이 나옵니다.
지방소득세? 여긴 또 왜 가야 하죠?
지방소득세는 양도소득세의 10%를 지자체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양도소득세만 냈다고 끝이 아닙니다.
신고는 관할 시청의 지방세과에서 직접 해야 하며,
홈택스로는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외국인 양도자가 엮인 경우는 시스템 오류가 떠서
저도 직접 성남시청에 갔습니다.
접수하고 사무실 복귀하니,
신고 완료 도장 찍힌 서류랑 납부서가 팩스로 도착했더군요.
이런 케이스, 종종 있습니다.
헷갈리는 상황별 실무 대응 요약
✔ 외국인 양도자
→ 국내 양수인이 어려우면 회사가 신고 대행
✔ 양도시기
→ 반기 종료 후 2개월 이내 신고 필수
✔ 계산법 요약
→ 거래금액 × 0.35% (증권거래세)
→ 차익 - 250만 원 × 세율 (양도소득세)
✔ 신고 장소
→ 증권거래세: 세무서
→ 양도소득세: 홈택스 or 세무서
→ 지방소득세: 시청 지방세과
실무자가 직접 정리한 신고 순서 (실제 경험 기반)
- 거래 계약서, 이체 내역 준비
- 증권거래세 신고서 작성
- 관할 세무서에 제출 및 납부
- 양도소득세 신고서 작성 (간편 신고서 가능)
- 지방소득세 신고 위해 시청 방문
- 자금팀에 납부서 전달 후 송금
제가 이 과정을 몰라서 세무서만 3번 방문했습니다.
처음 할 땐 누구나 시행착오 겪습니다.
이 글을 보고 조금이라도 줄이셨으면 좋겠습니다.
비상장주식 세금 신고, 실무자가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들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 신고는 홈택스로 가능한가요?
→ 가능하지만 외국인 관련 건은 오프라인 신고가 안전합니다.
외국법인이 양도자인 경우 회사가 신고해도 되나요?
→ 법적 의무는 없지만 실무상 대행하는 경우 많습니다.
신고기한을 넘기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무신고가산세 및 납부불이행가산세가 발생합니다.
양도소득세는 홈택스로 신고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양도소득세 간편신고서를 활용해야 합니다.
지방소득세는 어디서 신고하나요?
→ 관할 시청의 지방소득세과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접수합니다.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정리 3가지
- 비상장주식 거래는 ‘양도자’가 누구인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거래 시기는 반기 기준으로 신고기한을 엄격히 지켜야 합니다.
- 증권거래세,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3종 세트 신고를 잊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점
이건 제가 직접 겪은 이야기입니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요.
인터넷에도 자료는 뿔뿔이 흩어져 있고,
세무서 직원도 친절히 하나하나 알려주지 않습니다.
처음엔 정말 ‘이걸 왜 내가 해야 하지?’라는 생각부터 들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해야 하고,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그 담당자라면
조금이라도 더 수월하게 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2025.02.11 - [*경제 지식*] - 키움증권 총손익 vs 양도세 차이, 왜 다를까? 정확한 계산법 공개!
키움증권 총손익 vs 양도세 차이, 왜 다를까? 정확한 계산법 공개!
키움증권 주식 투자: 총손익과 양도세 차이 이해하기주식 매도 후 총손익과 양도세가 차이나는 이유는?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매도 후 표시되는 총손익과 실제 부과되는 양도소득세가 다르게
dd.it4989.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