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식*/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중학생 자녀 틱장애, 심리치료로 나아질 수 있을까

by 건강한 곰돌이 정 2025. 5. 9.
반응형

눈을 치켜뜨고 깜빡이는 습관, 단순히 피곤해서 그런 걸까요? 중학생에게 자주 나타나는 틱 증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약물 없이도 도울 수 있는지 심리치료 관점에서 풀어드립니다.


처음엔 그냥 피곤한 줄 알았어요

눈을 자주 깜빡이는 아이를 보며
"잠이 부족한가?"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행동이 잦아지고, 치켜뜨는 모습까지 더해지면서
주변 시선을 의식하게 됐고
아이도 학교에 가기 싫어한다고 말하기 시작했죠.


중학생 자녀 틱증상 질문
중학생 자녀 틱증상 질문

틱장애, 약물 없이도 치료될 수 있습니다

소아정신과에서 '틱장애'라는 진단을 받는 순간,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약물 치료입니다.

 

하지만 약이 전부는 아닙니다.
심리치료만으로도 눈에 띄게 좋아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심리치료가 왜 중요한가요?

틱장애는 심리적 자극이나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뇌의 흥분 상태를 조절하는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틱장애란 무엇인가요
틱장애란 무엇인가요

대표적인 심리치료 방법들

  1. 습관반전훈련(HRT)
    → 틱이 나오기 전 느낌을 인식하고, 이를 대체할 행동을 익힙니다.
  2. 인지행동치료(CBT)
    → 불안과 긴장을 완화하고 감정조절을 돕습니다.
  3. 감각통합치료
    → 감각 자극에 과민한 아이에게 자극 적응 훈련을 제공합니다.
  4. 놀이·미술·음악치료
    →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자연스럽게 풀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부모가 먼저 할 수 있는 3가지 실천법

  1. 틱을 지적하지 마세요
    "왜 그래?"는 오히려 증상을 자극합니다.
  2. 일상 루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세요
    일정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는 뇌 자극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불안을 드러낼 기회를 주세요
    틱은 감정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속마음을 꺼낼 수 있는 대화를 시도해 보세요.

약 없이 가능한 심리치료 방법
약 없이 가능한 심리치료 방법

아이의 틱장애, 부모가 자주 오해하는 3가지

  • ❌ 일부러 그러는 거 아니야?
    → 무의식적인 신경계 반응입니다.
  • ❌ 혼내면 고칠 수 있을 거야.
    → 오히려 악화됩니다.
  • ❌ 나중에 다 괜찮아져.
    → 자연 호전되기도 하지만 조기 개입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틱장애 심리치료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반응형

틱장애는 완전히 나을 수 있나요?

→ 조기에 치료하면 상당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약 없이도 좋아질 수 있나요?

→ 네. 꾸준한 심리치료로 증상이 줄어든 사례가 많습니다.

치료는 얼마나 오래 받아야 하나요?

→ 아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6개월 이상 꾸준히 진행합니다.

부모도 함께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 부모의 반응이 중요하므로 가족 상담이 함께 이루어지면 더 좋습니다.

심리치료만으로 효과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 필요시 약물치료를 병행하되, 먼저 심리치료로 충분히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

아이의 틱장애, 더는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틱장애는 일시적인 습관이 아닙니다.
스트레스와 감정이 만든 신체의 반응입니다.
심리치료와 환경 조절만으로도 충분히 좋아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입니다.

 

반응형